본문 바로가기

이야기 마당/무종교와 종교20

법정(法禎)스님과 김영한(吉祥華) 집안이 가난하여 16살에 결혼한 남편이 죽자, 조선 권번에 들어가서 궁중 아악과 가무를 가르치는 하규일의 문하에 들어가 기생이 된 진향 김영한(1916~1999)은 지금의 길상사 부지를 사드려서 ‘청암장’이라는 한식당을 운영하다가 군사 정권 시절에 고급요정인 대원각(1951~1997)으로 탈바꿈하였다. 그녀는 시인 백석과의 인연으로 유명해졌는데, 法禎 (해남 출신으로 625 전쟁을 겪으면서 삶과 죽음에 대해서 고뇌하다가 1954년에 출가, 속명 박재철, 1932~2010)의 수필 "무소유"에 감동하여 당시 1000억 원의 가치가 있는 대원각(부지7000평과 40여 채 건물)을 불교 도량(佛敎道場)으로 만들어 달라고 부탁하였다. 그러나 법정은 10년이란 세월이 흘러서 1995년에 받아드렸고 김영한은 염주와.. 2025. 7. 18.
부활/재림/윤회/환생을 믿는가? [거사주]: 현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대다수가 고대역사에 대해서는 그저 단순히 수 천 년 전의 역사로 치부한다. 그도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찬란했던 유적들이 지금은 오랜 세월 동안 지진, 풍화작용, 전쟁으로 인하여 예전의 모습을 간직하지 않고 있지만, 그 규모를 보면 수 천 년 전에 그러한 규모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그런 대표적인 유적으로 12세기에 Khmer Empire king, Suryavarman 이 Hindu temple(후에 Buddihst temple로 바뀌어 일부 조형물이 훼손되었다.)로 세운 Angkor Wat in Cambodia, 7~9 CE에 세운 72개의 종 모형을 엎어놓은 불교사원인 Borobudur Temple in Central Java, Indonesia도 그 거대함에.. 2025. 5. 20.
“The fact check of 10 Plagues in The Book of Exodus”(허와 실) [거사 주]: 구약에 나오는 ‘출애굽기”의 “10가지 재앙”은 Judeo-Christian(유대교/기독교인)들이 모세를 유대인의 신인 야훼의 명을 전달하는 예언자로 만들기 위해서 지어낸 허구이며, 람세스 2세 집권 때의 공식적인 기록은 없다. 이집트인에게는 나일즈 강은 생명줄이므로 엄청난 괴질을 유발한 재앙이 창궐했다면 당연히 중대한 역사적 사실로 기록했을 거라고 한다. 그리고 10가지 재앙이나 지명 등을 영문표기하는 것이 나을 것 같아서 올린 것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Moses was born in a time when his people, the Israelites, an enslaved minority were increasing in population and the Egyptian Phara.. 2025. 4. 24.
예수의 기적을 행하는 AI 신 섬기는 신흥종교도 생겼다 [거사 주]: 이 글은 2019년 9월에 스크랩한 기사입니다.  그 후로 AI가 더욱더 발전하였지만, 아직까지는 인공지능으로 인간의 사고를 할 수 있는 영역엔 도달치 못합니다. 그러나 AI의 역량은 인간이 기억하거나 평상시 사용하는 생활방식, 역사적인 자료, 과학적인 자료 등등을 최대한으로 섭렵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걸 단 시간내에 제시합니다. 물론 이 모든 방대한 자료는  인간이 만들어 놓은 것이라 편견도 있어서 잘못된 판단도 합니다. 그 편견적인 판단이 인류 존재를 위협하는 강하고 험악한 무기가 될 수도 있고, 또 언젠 가는 인공지능의 알고리듬이 인간의 사고 영역까지 이르게 되면 그야말로 인류에겐 이득보다도 엄청난 재앙이 될 수도 있습니다.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Veritas libera.. 2025. 2. 4.
바티칸이 저지른 최악의 5 가지 불법거래 [거사 첨언]: 313 CE에 만든 Edict of Milan 은 서로마 황제인  Contantine 1세와 동로마 황제 Licinius가 정치적 잇점을 고려하여 작성한 동의서인데, 이 후로 정치와 종교가 헷갈리게 만들었고, 교황청은 정치에 간섭을 하게 되었다. 교황청은 오랫동안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둘러 왔고, 당시 교황이었던 리오 10세는 성 베드로 성당을 짓는데, 재정적인 어려움이 생기자, 어마어마한 사기극인 '면죄부' 판매를 남발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1517년 마르틴 루터는 를 비텐베르크 교회 정문에 내걸면서 구신교간에 종교혁명으로 비화하였다. 그 후로도 여전히 성역이라는 가호를 빌미로 온갖 추문과 비행이 은밀하게 유지되고 있다. Top 5 financial transgressions commi.. 2025. 2. 1.
'이현령 비현령?' 몇 해 전에 우리 내외가 북부 유럽 여행을 갔는데, 우리와 일행 중에 같이 온 세 분과  같은 식탁에 앉을 기회가 있었습니다. 앨라배마에서 온 한 분이 목회를 하는지 모르지만, 우리 보고 교회에 나가냐고 물었습니다. 당연히 나가지 않는다고 하였더니 그 세 분 모두 의아하게 쳐다보면서 연유를 물었습니다. 종교 얘기가 나오면 길어질 게 뻔하여 여행의 분위기를 망칠 거 같아서, 몇 마디 나누다가, 전에 써놨던 게 생각나서 어찌 생각하느냐고 물었습니다. "한 마을에서 전장에 아들을 보낸 두 집의 독실한 기독교 가정에서 자기 아들이 주님의 가호로 모두 살아오길 빌었다. 그런데 한 아들은 살아서, 다른 아들은 죽어서 돌아왔다. 전자는 간절한 기도가 이뤄졌다고 감사했고, 후자는 첨에는 원망하다가 그것도 주님의 뜻이라.. 2025. 1. 30.
"새들이 떠나간 숲은 적막하다"- 법정(추가/수정) [거사 주]:  거사는 종교적 믿음이 없는 불가지론자이지만, BCE 1200년~1800년에  지금의 이란지역에서 발원한  조르아스터(배화)교는 그 후에 유대교, 기독교, 심지어 불교까지 영향을 준 역사적인 사실입니다. 거사의 내자는 불도는 아니지만, 죽어서 영생을 믿으며 잘 되나 못 되나 모두 어느 절대자의 뜻이라 믿는 어불성설 종교보다는 이승에서 어찌 살아야 하는 삶의 방향을 보여주는 성철과 법정 스님 외에  상좌였던 덕조 스님, 자현스님에 대한 불법강연을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2년 전에 올린 법정 스님과 김영한의 길상사에 얽힌 얘기를 상기하면서 끌어올렸습니다. 거사는 한국의 고승들의 사상이며 출판된 책자를 보면서 불교는 승려들을 위한 종교인지 불도를 위한 종교인지 그 경계선이 모호하다고 .. 2025. 1. 28.
“주님의 종이라는…목사 가족에게 우린 노예였습니다” 경기 하남 ㅅ교회 ‘관리집사’ 김명배·서수남씨 부부: 하루 15∼19시간 교회·빌라 관리에 수목원 조성까지 중노동에도 임금은 두 사람 합쳐 월 100만원 안팎, 그마저 십일조, 주일 헌금, 각종 회비 등으로 회수. 교회측: “오갈 데 없어 거둬준 것…본인들이 원해서 봉사”. 전문가들; “관리집사 처우 문제는 어제오늘 일 아냐. 다들 알지만 쉬쉬하며 덮어둬…실태 조사 필요” “교회를 나와보니 알겠더라고요. 속은 것도 속은 건데, 목사님들이 은혜라는 이름으로 사람을 이용했던 것 같아요.” 지난 2018년 11월 25일 와 만난 김명배(59)씨는 8년6개월의 세월을 돌이키며 한숨을 내쉬었다. 김씨는 아내 서수남(58)씨와 경기도 하남의 ㅅ교회에서 2010년 3월부터 2018년 9월까지 ‘관리집사’로 일했다. .. 2020. 12. 9.
여성/소외자 보듬은 예수는 페미니스트-교회는 왜 ‘배제의 공간’이 됐나 의 떡 5개와 물고기 2마리로 5000명을 먹였다는 ‘오병이어’의 기적에서도 여성은 세지 않았다. 하지만 예수가 보듬은 이들은 여성 등 사회적 약자들이었다. 이민지 작가는 “교회 내 여성들은 자신이 느끼는 불편함을 설명할 언어를 얻고, 교회 바깥의 여성들도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과 연대의 폭을 넓혔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 이민지 작가 제공- 교회 여성 10명 인터뷰 바탕 집필, 수천년 전 율법 지키지 않으면서 여성에 대해선 문자 그대로 해석. ‘성경의 권위’에 유교 문화가 결합 “‘예수는 페미니스트’입니다. 예수님은 여성이나 소수자를 보듬었잖아요. 차별에 반대하고 평등을 지향하는 페미니즘의 가치가 예수의 삶과 가르침에 닿아 있다고 봐요. 교회 안에서도 충분히 페미니즘이 논의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020. 9. 14.
크리스챤들은 콘스탄틴 I세에게 무한한 감사를--! * 2009년 1월에 올린 글을 일부 수정하여 다시 올렸습니다. 영문임을 양해 바랍니다. * Legitimization under Constantine (콘스탄틴 I 세의 기독교 입법화) 로마제국은 개국이래로 다신교(Polytheism) 내지는 미신(Superstition)이 만연되어있어서 대제국 통솔의 어려움이 항시 있었기에 콘스탄틴 황제는 그의 정치적인 야욕을 위해서 지난 300년동안 박해로 흩어져 있었던 수많은 복음서를 가감 편집하여, '성서'라 칭하였다. 그리고 CE 313에 동로마제국의 황제인 리시 니우스(Licinius)와 같이 서명하여 밀나노 칙령(The Edict of Milan)을 포고(Proclamation)하였지만, 리시 니우스는 CE 324에 두 황제의 패권 전쟁에서 패전하여 처형당.. 2020. 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