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마당/문고38 "옥이 흙에 묻혀"- 윤두서/"오우가"- 윤선도 [거자 주]: 2025년 을사년 거사의 화두로 다시 올려본다. 새해가 되었다고 새 결심을 다시 세울 필요는 없고, 지금까지 해왔던대로 하면 된다. 단지 바라는 게 있다면 윤두서의 "옥이 흙에 묻혀" 처럼, 지금 세상에 이 거사가 잘 알려지지 않았어도 조만간 때가 올 거라 믿고, 그날을 대비하여 자신을 다시 둘러보고 만전을 기한다.옥이 흙에 묻혀, 길가에 밟히이니오는 이 가는 이, 흙이라 하는구나두어라 알 이 있을지니, 흙인 듯이 있거라[해설] : 옥이 흙에 묻혀 길가에 버려져 있다. 지나가는 사람들은 흙인 줄 알고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행인들 발길에 흙과 함께 밟히고 있다. 그러나 분명히 아는 이가 있을 것이다. 언젠가 그가 나타날 때까지 흙인 듯이 있거라.[공재(恭齋) 윤두서(1668∼1715)]고산.. 2025. 1. 5. "석모도에 부는 밤바람(거사 단편 2007)"- 2024/5/7(보문사) [거사 주]: 작년에도 올해 방한때도 강화도에 들려서 석모도에 가는 페리 대신에 2017년에 새로 만든 석모대교를 건너갔다. 예전에 페리를 타고 건너던 낭만은 없어지고 이젠 길도 잘 닦아서 큰 트럭이나 관광버스도 여러대 보였다. 바다가 훤히 보이는 보문사엘 들리고 돌아나오는 길에 예전 페리 선착장이 있는 곳을 들리지 않았는데, 다음번에 들릴때는 석포리 선착장 근처엘 가고 싶다. 선착장에 내려서 섬 안쪽으로 들어서는 길을 따라 가다 보면 주인은 바뀌었어도 그 옛날의 술집도 있을런지 모르겠고, 이젠 어디에서 뭘하는지 모르는 민석의 새우 양식장도, 그 옛날에 붐비던 염전에서 일하는 이들이 묵었던 많은 숙사가 있는 곳을 볼 수 없어서 더욱 서운하였다. 석모도에 부는 밤바람: .. 2024. 12. 13. "단풍": 시--장영희(2006) 2010년에 첨 올리고, 2022년 만추에 들어서 다시 올렸고, 올 2024에도---.장영희(장영은)님은 70년대 중후반, 박인희가 데뷰하던 시절에 '가버린 계절'을 불렀던 통기타 학사가수, 그 후로 도미하여 시카고에 정착. 2005년 신인상 수필로 등단, 2006년 에서 이 바람거사가 수필 '추상'이 당선될 때, '단풍' 과 '새해'라는 시로 당선하였습니다. 2010년도 만추를 넘어 이미 초동으로 접어들었지만, 지난 만추지철의 낙엽지던 풍경을 반추하며 그녀의 추심을 음미해보세요. 단 풍 가을이 오면청청 하늘빛으로 보낸어린 아들의 고사리 손 더듬어붉은 그리움의 눈물 한 점 나무에 건다. 가을이 되면흩날리는 낙엽에야윈 가슴 움츠리던어머니의 .. 2024. 11. 7. "단풍과 나목" [거사 주]: 기원전 3100년에 메소포테미아의 수마리언들이 일 년을 12달로 정하고 한 달이 29~30일로 달력을 처음 만들어 사용했는데, 그때는 천체의 움직임과 계절의 변화가 매년 일정하게 반복된다고 믿었다. 하여튼, 인류가 만든 달력과 시계에 의해서 시간이 가고 세월이 흘러서 계절이 바뀌는 건 아니다. 그러나 추분이 지나고 가을로 들어서면서 북반구에서는 해의 남중이 낮아지고 또 일조량도 적어진다. 그리고 여름내 무성했던 나무도 이제 때가 왔다는 걸 감지하고 떨켜층을 만들면서 단풍 진 잎새를 떠내 보내는 겨우살이 준비를 시작한다. 이런 계절에 인간의 감성도 한층 무르익어간다. 단풍과 나목 2024. 11. 7. "가을 서사"- 詩(이상국) ' 그전에 선배 시인이 죽어 화장장 불가마에 들어가는 걸 본 적이 있는데, 그것도 모르고 그의 시는 계속 세상을 떠돌았다. 시처럼 가여운 것도 없다. ' 가을 서사 이상국 나는 이파리처럼 가벼워서 두고 가기 좋으나 그래도 해질 때 바닷가 술집에라도 데리고 가면 나의 시가 얼마나좋아 하겠냐며……그전에 선배 시인이 죽어 화장장 불가마에 들어가는 걸본 적이 있는데 그것도 모르고 그의 시는 계속 세상을 떠돌았다. 시처.. 2024. 11. 7. "뉴욕의 젊은 여자": 단편(2000)-바람거사 1996년 가을, 석이는 서울에 있는 친구에게 30여 년 전 추억 속의 한 여인의 행방을 좀 알아보라고 부탁을 했었는데, 두 달 후에 그녀의 고등학교나 대학동문회에는 무려 20여 년 전부터 ‘해외 거주’라는 네 글자만이 남아있다는 소식을 접했다. 그동안 막연하게 서편 저 멀리 고국의 하늘 아래 어디에서 잘살고 있으리라는 생각을 해온 터라 허무하기 짝이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인터넷을 통하여 한국에 있는 사이트에 이름을 조회해 보니 불과 네 명밖에 검색되지 않았다. 그리고 그중 나이가 비슷한 사람에게 메시지를 띄워 봤다. 그녀는 P 대학에서 교편을 잡고 있었는데 역시 동명이인이었다. 사실, 구미지역에서 살고 결혼도 했다면, 성과 이름이 몽땅 바뀌기가 십상이고, 전문직에 종사하면 몰라도 가정주부가 자신의.. 2024. 11. 7. '고향무정(그녀를 품을 수는 없는 거야)'- Monologue(2021) [거사 주]: 언제 녹음을 했는지 확실한 기억이 없지만, Sound Editor를 이용하여 화일을 다시 편집하면 그 날짜로 치환되어 2021년으로 되어있다. 수필 '고향무정'은 1993년에 몇 소제를 묶어서 정리한 것인데, 그 중에서 녹음을 한 소제는 1976년 초여름에 쓴 첫 글이다. 매번 노래만 불러서 녹음하다가 배경음악으로 'I Do for You' 를 깔고 독백으로 만들어봤다. audio element. 2024. 10. 8. "해바라기의 비명(碑銘)"- 함형수 ▲ 함형수(1914~1946) 시인은 생전에 불과 17편의 시편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16년 함북 경성 출생. 경성고보 재학 시 학생운동에 가담했다가 퇴학당한 후 중앙불교전문학교에 입학해서 서정주(徐廷柱)‧김동리(金東里) 등과 교분을 맺었다. 1936년 『시인부락』 창립동인으로 참가해서, 창간호에 「해바라기의 비명(碑銘)」, 「형화(螢火)」, 「홍도(紅桃)」, 「그 애」 등을 발표하며 문단에 등단했다. 1937년 가을 학교를 중퇴하고 만주로 건너간 이후 만주 길림성 도문(圖們) 시의 공립 백봉우급학교(白鳳優級學校) 교원으로 재직했다. 1940년에는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마음」이 당선된 바 있다. 광복 후 북한에서 정신질환에 시달리다 1946년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시집은 없고, 「N.. 2023. 12. 20. "이빨이 난 땅"(단편소설)- 리다설(중국) [거사 해설]: 해외문인협회지 해외문학 27호에 게재된 단편소설인데 단숨에 읽을 정도로 글 구성이 매우 탄탄하고 주제의 흐름이 유연하여, 한편의 드라마를 보는 듯하였다. 단편 소설이라 분량이 많아서 포토 복사를 하기도 그렇고 해서 해외 문학지 발행인한테 부탁했는데, 바로 보내주셔서 올렸다. 일반적으로 단편 소설의 주 테마는 지지고 볶는 사랑 아니면 그런 삶이다. 리다설(李茶雪): 본명 리명화(李明華) 소설가: 1972년 5월. 흑룡강성 탕원현에서 출생. 흑룡강대학 졸업. 단편소설 「개개비를 아시나요」등 중단편소설 다수 발표. 연변작가협회회원. 흑룡강작가협회회원. 1 "킁... 킁... 그릉 그르릉..." 가래 끓는 소리가 비좁은 집안을 가득 채운다. 소리 때문일까. 아이는 이리 뒤척 저리 뒤척 잠을 이루.. 2023. 10. 13. "그 찻집"(수필)- 리홍매(중국) [거사 주]: 오랜만에 한폭의 구도가 잘 짜여진 풍경화를 상상하며 감명깊게 읽었다. 어제 "해외문협"의 해외문학지에 게재된 이글의 화일을 발행인인 조윤호 시인/명예회장한테 부탁한 화일이 왔지만, 어쩐지 이런 포토 복사한 페이지가 더 정감이 가서 사진만 칼러로 된 걸로 바꾸고 글은 그냥 놔뒀다. 2023. 10. 12. 이전 1 2 3 4 다음